2009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
수학과 총괄 목표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기능을 습득하여 주변의 여러 가지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기르며 수학적 문제 상황을 수리ㆍ논리적 사고를 통하여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①수학교과 내용 양의 20% 경감
초중고에서 중복되었거나 필요성이 떨어지는 내용을 축소하여 교과 내용 20%경감
② 학년군제를 고려한 학년별제 적용
중학교 1,2,3학년을 1~3학년군으로 묶어서 제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유연성 부여
※ 이해가 느린 학생 : 기본적인 내용 집중적 학습
이해가 빠른 학생 : 더 많은, 더 깊은 내용 학습
③ 수학적 창의성 강조
수학적 과제를 다양하고 독창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거나 새로운 관점에서 과제를 탐구
④ 수학교육에서 인성 강조
토론, 표현, 존중, 배려 등의 수학적 활동을 통한 인성 함양 ( 교육과정 해설서 35p 카 참조)
⑤ 수학적 과정의 강화
수학적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등을 학습내용의 성취기준에 구체적으로 제시
2009개정 교육과정 주요 변경 사항
① 수학 개념과 실생활 활용의 통합
그래프와 활용, 방정식과 그 활용 등의 중단원 통합
(그 외에도 중학교에서 정수와 유리수 통합, 원과 직선 원주각이 원의 성질로 통합)
② 중학교 수와 연산 영역의 집합 내용 전면 삭제
함수영역에서 정의역, 공역, 치역 용어 삭제
③ 형식적이고 엄밀한 증명 대신 추측과 정당화 강조
명제, 증명 내용 및 용어 삭제
중학교 변경 사항
영역별 주요 개정 내용
영역 |
주요 개정 내용 |
수와 연산 |
˚ 집합 삭제 |
문자와 식 |
˚ 수학 개념과 실생활 활용의 통합 |
함수 |
˚ 함수 개념 도입 방법의 변화와 중영역 통합 |
확률과 통계 |
˚ 누적도수 삭제 |
기하 |
˚ 원의 성질 축소 |
공통 교육 과정 영역별 삭제된 용어(중학교)
영역 |
삭제된 용어 |
수와 연산 |
˚ 이동(고등) : 집합, 원소, 원소나열법, 조건제시법, 유한집합, 무한집합, 공집합, 부분집합, 진부분집합, 서로
같다, 벤 다이어그램, 합집합, 교집합, 전체집합, 여집합, 차집합 |
문자와 식 |
˚ 삭제 : * 식의 값, 좌변, 우변, 양변, 이차식, 전개식, 소거, 가감법, 대입법 |
함수 |
˚ 이동(고등) : 정의역, 공역, 치역 |
확률과 통계 |
˚ 추가 : 줄기와 잎 그림, 확률 |
기하 |
˚ 이동(고등) : 명제, 가정, 결론, 역, 정의, 정리, 증명 * 접선의 길이, 내대각 |
* 밑줄 친 용어는 교수학습 상황에서 다루어질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변경사항
선택과목의 구성
선택 과목별 내용 체계 변화
영역 | 주요 개정 내용 |
수학I | ˚ 실수 단원 삭제 |
수학II | ˚ 집합지도 ˚ 삼각함수, 지수로그함수 삭제 및 이동(미적분II) |
미적분I | ˚ 다항함수 중심의 미분법과 적분법 ˚ 롤의 정리와 평균값 정리 이동 ˚ 중간값 정리 → 사잇값 정리로 수정 |
미적분II | ˚ 초월함수의 미적분에 중심 |
기하와 벡터 | ˚ 미분법을 이용한 평면 곡선의 이해 강화 ˚ 위치벡터를 이용한 평면 운동의 이해 강화 |
확률과 통계 | ˚ 연속확률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삭제 ˚ 순열과 조합에 이산수학의 일부 내용 추가 |
고급수학I | ˚ 행렬과 일차변환 및 이산수학 관련 내용 심화 지도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절대주의 수리철학
절대주의 수리철학
2015.11.18 -
2009 수학과 개정 교수․학습 방법
2009 수학과 개정 교수․학습 방법
2015.11.17 -
우리나라의 수학 교육과정
우리나라의 수학 교육과정
2015.11.17 -
수학교육의 동향
수학교육의 동향
2015.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