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성주의 교수학습 원리
① 학생 중심적 개별화의 원리
: 학습의 주체는 학생 개인이므로 학생의 지적 자율
성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 개개인의 능력에 맞는 개별적 교수학습을 통해
개인의 수학적 능력 극대화
② 발문 중심적 상호작용의 원리
: 학생이 학습의 주체가 되어 지식을 구성 할 수 있도록
교사가 발문을 중심으로 안내하거나 조력
⇒ 학습 내용과 학습자의 심리적 상태를 고려하여 긴장감을 불러일으키거나 학습자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발시키는 질문․조언
③ 의미 지향적 활동의 원리
: 학생들이 활동 속에 구성한 의미에 충실한 지식의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ex) 산가지를 이용한 산술 학습
⇒ 학생들의 활동에 내재된 수학적 의미를 수학적으로
표현하게 하여 활동에 내재된 의미를 지식으로 구성하게 한다
④ 반영적 추상화의 원리
: 학생 자신에 의해 내면적으로 이루어지는 반성적
활동을 중시해야 한다
⇒ 학생이 자신들의 행동 그 자체를 사고의 대상으로 삼도록 고무하고 격려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① 개념적 지식 (~피아제의 논리․수학적 지식)
: 내적으로 구성된 아이디어들이 서로 연결된 관계로
구성된 지식
: 형식적 언어(원,합동,…) + 기호체계(±,÷,4,7,…)
(ex) 숫자-7, 소수, 홀수, 요일, …
※ 기호체계 : 개념적 지식
기호체계를 이용 · 해석하는 능력 : 절차적 지식
② 절차적 지식
: 정형적인 수학과제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규칙 ․ 절차
수학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기호체계에 대한 지식
: 절차적 지식의 학습은 개념적 지식과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도구적 이해가 아닌 관계적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 져야한다
시사점
• 교사는 지식의 전달자가 아니고 안내자 ․ 조력자
• 갈등적 요소가 있는 학습상황과 과제의 제시
• 집단적 상호작용을 중요시 → 소집단 협력학습
• 구체물을 사용하거나 소집단 상호작용을 한다고 해서
구성주의적인 수업을 하는 것은 아님을 주의
(구성주의는 인식론적 관점일 뿐 교수법이나 교수이론 ×)
※ 구성주의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 적절한 모델 설정, 일관성 있는 안내, 학생의 파악,
인지적 갈등 상황을 유발, 적절한 발문